
am is are
오다교 개인전 <am, is, are>은 작가를 둘러싼 존재에 대한 이야기이다. is는 흔히 비정언적 존재의 개념을 나타낼 때 쓰는 계사로 작가는 이를 ‘나의 존재는 당신의 존재’, ‘나를 포함한 모든 것들의 존재’로 넓게 해석하고 주요 작업 매체인 흙을 사용하여 다룬다. 흙은 인간 삶의 기반이 되는 자연의 원소이자 우리를 내면에 숨겨진 뿌리의 원형과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므로 보이는 것 너머의 내밀한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전시 <am is are>은 우리에게 흙이 그러한 것처럼, 현상을 이루는 모든 것 아래에 존재하는 본질을 들여볼 수 있도록 돕는다.
그녀의 작업은 예측할 수 없는 우연의 결과에 일정부분 의존한다. 그러나 이는 자연이 스스로 일한 필연의 결과이다. 작가의 작업은 재료가 된 흙의 성질이나 수분과 안료의 배합, 건조의 과정에 따라 질감과 형상이 달라지는데, 작가는 본인의 힘과 의지를 내려놓고 작업의 일부분을 의도적으로 자연에게 자리 내어준다. 재료의 변화 가능성, 즉 물질의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작업의 토대에 두는 것이다. 이 결과 오히려 인간이 예측가능한 심상을 뛰어넘는 미감이 만들어진다. 이는 과정을 소유하며 결과를 예측하고자 하는 욕심을 버리고 작품을 구성하는 물질과 온전한 공감과 공존을 통해 모든 존재 가치를 사유하는 작가의 온유한 힘이 만들어 낸 결실이다.
“내가 존재하는 것은 나 외의 다른 것이 있기에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엄마로부터 태어났지만 곧 엄마가 될 것이다. 나는 나 자신을 볼 수 없고 나 외의 모든 것들을 볼 수 있다. 나는 흙을 통해 자연의 섭리와 존재에 대해 생각하며 복잡한 세상의 이야기를 종결 시킨다. 흙은 본래 모든 것을 존재하게 하는 조용한 힘이며 이것을 사유하는 고요함, 정적을 통해 자유와 안식의 원천을 찾는다.”
오다교 작가노트
오다교 개인전 <am is are> 은 우리에게 흙으로부터 태어난 존재에 대한 이야기, 모든 것을 존재하게 하는 근원에 대한 조망, 외면의 형상이 아닌 내면을 사유하는 내밀로의 진입과 존재하는 것에 대한 경이를 발견하게 한다. 우리는 그저 발가락을 벌리고 흙을 밟아 감촉을 느끼듯 그녀 작품의 심층을 즐기면 될 것이다.
<am is are>, Dakyo Oh’s solo exhibition, is a story of existence that surrounds the artist. The be-verbs as listed in the exhibition title are often used to convey the concept of non-verbal existence, which the artist interprets broadly as "my existence is your existence" and "the existence of all things, including myself." She explores this theme using soil, her main working medium and a natural element that serves as the foundation of our lives and connects us to the archetype of roots deep within us. Soil allows for intimate contemplation beyond the visible, and as her main medium does, <am is are> offers a glimpse into our own essence that exists beneath everything that makes up our reality.
Oh's practice relies to some extent on the unpredictable consequences of chance, which are the inevitable results of nature's own workings. The texture and shape of her works are dependent on the properties of the soil, the mixture of moisture and pigment, and the drying process. By deliberately allowing nature to handle parts of her process, Oh relinquishes her own power and will to take over, placing the malleability of the material—the invisible part of the material—at the foundation of the work. And the result is a sense of aesthetics that transcends what the human eye can predict. It is the outcome of the artist's gentle strength, which gives up the desire to control the process and predict the outcome, and instead contemplates the value of all things through complete empathy and coexistence with the materials that compose the work.
“My existence is only possible because of something other than myself. For example, I was born from a mother, but soon I will become a mother myself; while I cannot see myself, I can see everything else around me. By contemplating the providence and existence of nature through soil, I am able to bring the story of the complex world to a close. Soil is a quiet force that brings everything into existence by its very nature. Through the stillness and silence of contemplating this, I find a wellspring of liberation and solace.”
From Dakyo Oh’s Artist’s Notes
Dakyo Oh's solo exhibition <am is are> invites us to discover the wonders of existence—a story of being born from soil, a glimpse into the origin of all that exists, and an entry into the inner contemplation of outward form. All we need to do is immense ourselves in the depth of her work, as if we were stepping on the soil with our toes spread, exploring its te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