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으로 동작으로 허공으로

선으로 동작으로 허공으로

Moonmo Yang, Minhye Kim
May 7, 2025 – May 31, 2025

김민혜와 양문모는 선과 동작, 그리고 허공의 경계를 탐색한다. 이들은 형태를 구축하거나 재현하기보다, 그것이 무너지고 다시 세워지는 과정을 기록한다. 선은 움직임을 따라 흔들리고, 동작은 형태를 지우며, 허공은 부재와 존재 사이의 틈을 드러낸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고정된 결과물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 자체를 드러내는 매개가 된다.

김민혜는 평면 위에 선과 면을 겹치며 깊이를 만들어낸다. 그녀는 재현적 이미지의 무게를 벗어나, 선과 면의 관계를 통해 공간적 감각을 확장한다. 물성이나 구체적 대상을 강조하기보다는, 비워진 공간과 그 너머를 감각적으로 지시한다. 드로잉과 조각 사이를 넘나드는 그녀의 작업은, 경계에 머무르며 열린 구조를 지향한다.

양문모는 반복과 삭제를 통해 회화의 재현성을 질문한다. 드로잉에서 시작된 그의 작업은, 화면 위를 흐르는 손의 움직임과 소거의 몸짓을 통해 공간을 다시 구축한다. 그는 고정된 이미지를 완성하는 대신, 손과 몸의 흔적을 통해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드러낸다. 화면은 완결된 장면이 아니라, 끝없이 수정되고 갱신되는 현장으로 제시된다.

두 작가는 각기 다른 매체를 다루지만, 모두 불완전한 형태와 열린 구조를 지향한다. 선은 고정된 윤곽이 아니라 흐름이 되고, 동작은 화면을 덮는 동시에 밀어낸다. 이들은 형상과 비형상 사이의 경계를 흐리면서, 감각적이고 유동적인 공간을 만들어낸다. 허공은 이 모든 과정이 남긴 흔적이며, 사라짐과 생성이 교차하는 자리이자, 또 다른 가능성이 열리는 지점이다.

《선으로, 동작으로, 허공으로》는 두 작가의 대화이자, 시간과 공간을 관통하는 손의 기록이다. 이 전시는 고정된 서사를 따르지 않고, 관객 각자의 시선 안에서 끊임없이 열리고 닫히는 하나의 장으로 남을 것이다. 관객은 완성된 결과가 아니라, 그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움직임과 흔적을 따라가며 전시를 경험하게 된다.

Pipe Gallery presents <In line, movement and air>, a two-person exhibition featuring artists Kim Minhye and Yang Munmo. Together, they explore the shifting boundaries between line, movement, and air—not as fixed elements, but as states in flux. Rather than constructing or depicting form, they trace the moments in which it dissolves and reemerges. Line quivers with motion, movement erases shape, and air reveals the threshold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These elements are not endpoints, but mediators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Kim Minhye creates depth through the layering of lines and planes on a flat surface. Departing from representational weight, she expands spatial perception through the interplay of linear and planar elements. Her work suggests what lies beyond the visible, emphasizing absence over objecthood. Hovering between drawing and sculpture, her practice occupies a threshold space, embracing openness and ambiguity.

Yang Moonmo questions the representational nature of painting through repetition and erasure. Beginning with drawing, his work reconstructs space through gestures of the hand and acts of removal. He avoids fixed images in favor of reveal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isappearance through bodily traces. For him, the canvas is not a finished scene but an evolving site—constantly revised and renewed.

Though they work with different mediums, both artists pursue unstable forms and open structures. Lines become flows, not contours; movements both obscure and expose. Together, they blur the boundary between form and formlessness, creating a sensory and fluid spatiality. Air becomes the trace of these acts—a site where disappearance meets emergence, and where new possibilities unfold.

《In line, movement and air》 is both a dialogue between the two artists and a record of the hand moving through time and space. It resists a fixed narrative, remaining open and mutable within the gaze of each viewer. Rather than offering completed works, the exhibition invites the audience to follow gestures and traces—witnessing the process itself as a form of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