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c Tac Toe
파이프갤러리는 그룹전 <Tic Tac Toe>에서 고니, 규미, 송지유, 신동민, 최명헌 작가의 자유로운 감각과 조형 언어에 집중한다.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 구상과 추상, 실재와 환영, 형태의 교란을 오가는 자율적이고 가벼운 선택은 다섯 작가의 공통된 작업방식이다. 다양한 선택지에서 자신의 관심 사항을 추구하며 주관과 경험을 넓혀가는 이들의 시각이 규범과 관습의 문화로 이루어진 우리의 삶 속에서 자유로운 태도의 속성을 느끼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전시 타이틀 <Tic Tac Toe>은 단순한 보드게임으로, 플레이 방식이 워낙 간단해서 특별한 전략이나 속임수를 두기가 어려운 추상 전략 게임의 이름이다. 참여자 모두 실수만 저지르지 않는다면 상대의 수와 상관없이 최소한 무승부가 보장되므로 별다른 법칙이나 기교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다. 전시 <Tic Tac Toe>에 참여하는 다섯 명의 작가는 자신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용하여 상상하고, 일상으로부터 얻어낸 심미적 감각을 탐구한 장소로 우리를 안내한다. 이들은 다양한 표현의 매체와 기회 가운데에서 가장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독특한 패턴과 리듬, 형태, 질감을 개발하고 얻어낸다. 자신이 선택한 표현언어에 숙달될수록 긴장은 점차 감소하며 과잉은 줄어든다. 다섯 작가의 이러한 작업적 태도는 우리에게 일상에서 마주하는 압박과 부담을 가벼이 바라보게 할 것이다. 최소한 무승부가 보장되었으므로.
고니(b.1992)는 양가적이고 이중적인 상황과 매체를 사용한다. 재료의 물질적 특성에 따라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화면을 구분하거나 혹은 명백한 비재현과 암시된 재현을 자유롭게 대립시킨다. 무수히 구체적인 상황들, 그러나 그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의도적인 불충분함은 화면의 서사를 국한하지 않고 확장시킨다.
규미(b.1998)는 공기나 바람, 나타남과 소멸과 같은 비가시적인 것들이 디지털 공간에서 가시화 된 형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를 자신의 실제 회화공간에 오버랩한다. 얼룩덜룩 자리 잡은 비정형 형태들과 선, 유연한 붓과 물감 자국으로 만들어낸 크고 뚜렷한 운율감과 생동감을 미적 공간을 유영하듯이 자유롭게 구사한다.
송지유(b.1996)는 형언할 수 없고, 눈에 보이지 않는 파편들을 채집하며 작업을 시작한다. 단일한 양식 안에 안주하지 않고 드로잉, 페인팅, 나무나 필라멘트 조각과 같은 매체를 자신의 시각과 결합하고 정서적이며 감각적으로 가시화한다.
신동민(b.1994)의 작업은 은유적 형태로 존재하는 무언가를 시각화하려는 시도에서 시작한다. 손과 직접적으로 궤적을 같이하는 목탄의 흔적은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조직되어 전체를 구성하고, 작가의 다양한 경험 혹은 공상과 결합된 선들은 거미줄처럼 무수히 뻗어 나간다.
무수한 붓질이 흐르고 중첩된 최명헌(b.1996)의 회화에서는 숨겨놓은 듯한 구상적 형상이 떠오르듯 나타난다. 의도에 따라 왜곡된 외양과 재구성된 이미지는 구체적인 흔적들과 질감, 진동을 한군데 모아 결합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우리의 시각 통로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Pipe Gallery focuses on the free-spirited sensibilities and formative languages of Goni, Gyume, Jiu Song, Dongmin Shin, and Myeongheon Choi—in their group exhibition titled <Tic Tac Toe>. Their autonomous and lighthearted approach, which oscillates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concrete and abstract, reality and illusion, and disturbance of form are common ways of working by the five artists. Embracing various options, they pursue their interests and expand their perspectives, providing us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 sense of freedom amidst the culture of norms and conventions that permeates our lives.
The exhibition title <Tic Tac Toe> derives from a simple board game, known for its straightforward gameplay, making it difficult to deploy any particular strategy or deception. As long as participants avoid mistakes, the game guarantees at least a draw, regardless of the opponent's moves. Thus, it allows for carefree enjoyment without any elaborate rules or tactics. In this context, the five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Tic Tac Toe> guide us to a space where they imagine and explore aesthetic sensibilities derived from their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Utilizing diverse artistic media and opportunities, they freely select their desired elements, patterns, rhythms, forms, and textures. As they become more proficient in their chosen expressive languages, tension gradually diminishes, and excess fades away. Such an artistic attitude will encourage us to view the pressures and burdens of daily life with a lighter perspective. At the very least, a draw is guaranteed.
Goni (b. 1992) employs dualistic and ambivalent situations and media. Depending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artist contrasts screens that evoke empathy with obvious non-representation and implied reproduction, freely confronting them. Intentional insufficiency that cannot be explained solely through numerous specific situations expands the narrative of the screen beyond its limitations.
Gyume (b.1998) focuses on making invisible entities, such as air, wind,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visible in the digital space and overlaps them with images she collects in her actual painting space. Using various irregular forms, lines, flexible brushes, and paint traces, she freely manipulates the vast and distinctive rhythm and liveliness of the aesthetic space, reminiscent of swimming.
Jiu Song (b.1996) begins her work by collecting fragments that are ineffable and invisible to the eye.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single form, she combines her vision with mediums such as drawing, painting, wood, or filament sculpture to visually and emotionally manifest her artistic expressions.
Dongmin Shin's (b.1994) work originates from an attempt to visualize something existing in a metaphorical form. Traces of charcoal, closely intertwined organically, form the overall composition, and the lines, which directly combine the artist's diverse experiences or fantasies, are organized and extend infinitely like a spider web.
Myeongheon Choi's (b.1996) painting, which is overlapped with numerous brush strokes reveals abstract forms of conceptual shape that seemed to be concealed. Intentionally distorted appearances and restructured images, expand our visual passage so that specific traces, textures, and vibrations can be gathered and viewed from a combined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