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en You Stop It
전시 타이틀 ‘당신이 말을 멈추면(When you stop it)’ 에서의 ‘말’은 ‘달리는 말’과 ‘이야기’ 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 가능한 중의적 표현이다. 같은 맥락에서 작가는 ‘숨바꼭질’이라는 테제를 전시의 주제로 삼아 작품에 대한 단일한 해석을 거부하고, 일관된 표현 형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과 시도를 선보인다.
“뭔가 낯설어지면, 보기가 좋아요! 말이 안 통하는 둘의 대화를 구경할 때랑 비슷하게. 지금 몇 시죠? 여기는 북극과 1873km 떨어져 있습니다. 누군가 빵을 집으면, 상대방이 소화기를 뿌리고. 먹지 못하게됐군요, 전 잘 지냅니다. 좋아요, 이런 게!”
“어떤 사람이 회전목마에 올라타서 주위를 두리번거려요. 뭐 찾는 게 있나?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두리번거릴 뿐 이예요. 어떤 사람이 커튼 뒤에 숨어 있어요. 무서운가?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커튼 뒤에서 지켜보는 것 뿐이예요. 어떤 사람이 숫자를 세요. 때를 기다리나? 아니요, 저 사람은 그냥 숫자를 셀 뿐이예요.”
“사람들은 작은 게임 규칙에도 단련이 됐어요. 찾는 자와 숨는 자.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길으면 기차… 그게 자연스러운 거니까.”
“누가 찾는 사람인지, 누가 숨는 사람인지 어떻게 알지? 규칙에 단련되어 있어도 우리는 시작 전에 누가 누구인지 몰라요. 머릿속으로 원숭이 엉덩이는 파랗다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파란건 바다 바다는 넓어 넓은건… 대부분은 무언가를 찾자마자, 들키자마자 더이상 찾는 자와 숨는 자가 되지 못해요. 보기 좋게 우스꽝스러워 질 뿐이죠.”
“’찾는 자’인 동시에 ‘숨는 자’이게 되는 곳, 마치 숨바꼭질을 하듯 끊임없이 위치를 바꾸면서, 당신이 말을 멈추면.”
서원미 작업노트(22.8.1)
한 편의 연극 무대에서 모든 배우들이 개개인의 발성으로 모두 다른 연기를 하듯, 전시 ’당신이 말을 멈추면(When you stop it)에서 서원미는 작품마다 기법을 변화시켜가며 개별 작품이 가지는 뉘앙스와 분위기를 각각 다르게 담아냈다. 그러므로 관람자 역시 모두가 ‘술래’ 와 ‘숨는 자’, 라는 양자의 입장이 되어, 각자의 상상력과 경험을 덧붙인 해석의 확장을 하길 원한다.
The exhibition title ‘When you stop it’ is an ambiguous expression in which ‘말 (mal)’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a running horse’ and ‘a story’. In the same context, the artist takes the theme of ‘hide-and-seek’ as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refusing a singl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and showcasing free and diverse expressions and attempts by breaking away from a consistent expressive form.
“When something becomes unfamiliar, it's good to see! It's similar to watching a conversation between two people who can't communicate. What time is it now? We are 1873km away from the North Pole. When someone picks up a piece of bread, the other person sprays a fire extinguisher. You couldn't eat it, well, I'm doing fine. I like this kind of thing!”
“Someone gets on a carousel and looks around. Are they looking for something? No, that person is just looking around. Someone is hiding behind a curtain. Are they scared? No, that person is just watching from behind the curtain. Someone is counting numbers. Are they waiting for the right moment? No, that person is just counting.”
“People are trained even by small game rules. The seeker and the hider. A monkey's butt is red, red is an apple, an apple is delicious, delicious is a banana, a banana is long, long is a train... because that's what's natural.”
“How do we know who the seeker is and who the hider is? Even if we are trained in the rules, we don't know who is who before we start. In our heads, we could think that a monkey's butt is blue. Blue is the sea, the sea is wide, wide is... Most people, as soon as they find something or are caught, can no longer be the seeker and the hider. They just become ridiculous in a good way.”
“A place where one becomes both the ‘seeker’ and the ‘hider’, constantly changing positions as if playing hide-and-seek, when you stop talking.”
Wonmi Seo’s Artist's Notes (22.8.1)
Just as all actors on a theater stage perform differently with their individual vocalizations, in the exhibition ‘When you stop it’, Wonmi Seo changed her techniques for each work to capture the individual nuances and moods of each piece differently. Therefore, she wants the viewers to also become both the 'seeker' and the 'hider', expanding their interpretations by adding their own imagination and experience.